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도입한 대표적인 저축지원 제도입니다. 하지만 실제로 얼마나 모일 수 있을지, 금액적으로 얼마나 이득이 되는지 감이 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납입 금액, 정부 지원, 예금이자를 기준으로 1년, 3년, 5년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 기본 구조 요약
- 가입 대상: 만 19~34세 청년,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- 본인 납입액: 월 40만 원 또는 70만 원 선택
- 정부지원금: 중위소득에 따라 월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
- 가입 기간: 최대 5년
- 이자 혜택: 비과세 및 시중금리 적용
2. 소득 구간별 정부 매칭 구조 (요약)
중위소득 구간 | 정부 지원금 (월) | 본인 납입액 | 총 수령 예상액 (5년 기준) |
---|---|---|---|
100% 이하 | 40만 원 | 월 40만 원 | 약 5,000만 원 |
100~140% | 20~30만 원 | 월 40만 원 | 약 3,500~4,000만 원 |
140~180% |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| 월 40만~70만 원 | 약 2,000~2,500만 원 |
3. 기간별 실수령액 시뮬레이션 (중위소득 100% 이하 기준)
✔ 월 40만 원 납입 시
기간 | 본인 납입 총액 | 정부 지원 총액 | 예상 이자 | 실수령액 합계 |
---|---|---|---|---|
1년 | 480만 원 | 480만 원 | 약 15만 원 | 975만 원 |
3년 | 1,440만 원 | 1,440만 원 | 약 90만 원 | 2,970만 원 |
5년 | 2,400만 원 | 2,400만 원 | 약 250만 원 | 5,050만 원 |
* 이자는 연 복리 3% 가정. 시중금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✔ 월 70만 원 납입 (중위소득 초과자)
- 정부 매칭 없음 (단, 비과세 이자 혜택 적용)
- 5년간 총 납입액: 4,200만 원
- 이자 수익: 약 340만 원 (3% 복리 가정 시)
- 실수령액: 약 4,540만 원
4. 실제로 어느 정도 이득일까?
청년도약계좌는 단순 적금 대비 **정부 지원 + 비과세 이자** 덕분에 최소 2배 이상의 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- 💡 정부 지원만으로도 5년 후 2,400만 원 추가 수령
- 💡 비과세 혜택으로 이자수익 세금 없이 수령
- 💡 총 자산형성 속도에서 압도적인 차이 발생
5. 마무리: 5년 뒤를 위한 확실한 선택
지금의 40만 원이 5년 뒤 5천만 원이 되는 기회, 청년도약계좌는 그 자체로 미래 준비의 시작입니다.
매월 일정한 금액을 저축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면, 반드시 도전해볼 가치가 있는 정책입니다.
정부의 혜택을 잘 활용하여, 여러분의 자산을 현명하게 설계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