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청년 월세지원 제도 총정리 – 조건, 금액, 신청 방법까지

by 달의편집장 2025. 7. 22.

2025년 기준,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**정부와 지자체의 월세지원 제도**가 확대 시행 중입니다. 특히 무주택 청년, 중위소득 이하 계층을 대상으로 **최대 12개월간 월세를 지원**하는 제도가 중심입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전국 공통 정부지원 기준과 주요 지자체별 지원 정책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.

1. 국토교통부 청년 월세지원 (전국 공통)

  •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 (중위소득 60% 이하)
  • 주거 조건: 보증금 5천만 원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
  • 지원 금액: 월 최대 20만 원 × 12개월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 누리집 또는 주민센터
  • 지급 방식: 본인 계좌로 현금 입금

2. 서울시 청년 월세지원 (서울시 자체 정책)

  • 대상: 서울 거주 만 19~39세 청년
  • 조건: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, 무주택 세대주
  • 지원 금액: 월 20만 원 × 10개월 (최대 200만 원)
  • 신청 시기: 연 2회 모집 (2025년 상·하반기)
  • 신청 방법: 서울주거포털 (https://housing.seoul.go.kr)

3. 경기도 청년 월세지원 (청년기본소득 연계)

  • 대상: 경기도 내 만 24세 청년 + 주거비 부담 청년
  • 지원 내용: 청년기본소득과 별도 최대 30만 원/월 지원
  • 특징: 연계 정책 활용 시 실질 혜택 높음
  • 신청 방법: 경기청년포털 (youth.gg.go.kr)

4. 대구, 부산, 광주 등 주요 지역 지원 사례

  • 대구광역시: 월 15만 원, 6~10개월 지원, 만 19~34세 청년
  • 부산광역시: 청년주거비지원사업 별도 운영
  • 광주광역시: 1인 가구 주거취약 청년 대상 최대 월 20만 원

5. 공통 신청 요건 요약표

항목 기준
나이 만 19세 ~ 34세 (지자체별 상이)
주거 조건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+ 월세 60만 원 이하
소득 기준 중위소득 60~150% 이하
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각 지자체 온라인 포털

6. 유의사항 및 신청 팁

  • ✅ 임대차계약서 필수: 본인 명의 전입신고 완료된 계약서 제출 필요
  • ✅ 자동이체 권장: 월세 입금 내역 증빙을 위해 은행 이체 기록 필요
  • ✅ 중복 신청 불가: 국토부와 지자체 지원 중복 수령 불가 (중복 시 1곳만 인정)
  • ✅ 신청 후 소득 확인 필요: 국세청 소득자료 기준 자동 검증

마무리: 청년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주거 혜택

월세는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지출입니다. **정부와 지자체의 청년 월세지원** 제도를 활용하면 **실질적인 경제적 숨통**이 트입니다.

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. 지금 바로 거주 지역 청년 포털이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자격을 확인해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