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정부와 지자체가 지급하는 민생지원금 25만 원은 반드시 실물 카드로만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. 요즘은 지역화폐 전용 앱이나 제로페이 QR결제 등을 활용해 스마트폰 하나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본 글에서는 지역별 앱 소개부터 결제 방법까지 실제 사용법을 정리해드립니다.
1. 대표적인 지역화폐 앱 종류
- 지역사랑상품권 앱 (제로페이 기반): 전국 대부분 지자체 지원
- 경기지역화폐 앱: 경기도 전용 지역화폐 플랫폼
- 서울페이+: 서울시 모바일 결제 앱
- 전북전주페이, 대구행복페이, 인천e음: 지자체별 전용 앱 다수 존재
2. 기본 사용 흐름 요약
- 앱 설치 → 본인 인증 및 계좌 등록
- 민생지원금 자동 충전 or 수동 충전
- 가맹점 방문 → QR코드 결제 또는 바코드 스캔
- 결제 시 잔액 차감, 문자로 알림 수신
3. 제로페이 기반 지역사랑상품권 앱 사용법
- 앱 이름: 지역사랑상품권 (by 한국간편결제진흥원)
- 지원 지역: 부산, 강원, 전남, 충북 등 200여 지자체
- 사용법: QR코드 생성 → 가맹점 리더기로 스캔
- 충전 방식: 은행 계좌 연결 후 간편 충전
- 장점: 실시간 결제 가능 + 추가 할인 혜택 있음
4. 경기지역화폐 앱 사용법
- 앱 이름: 경기지역화폐 (코나아이 운영)
- 지원 지역: 수원, 용인, 성남, 남양주 등 대부분 경기도 시군
- 결제 방식: QR 결제 또는 가상카드형 결제 (온라인 사용 일부 가능)
- 이벤트: 충전 시 추가 인센티브 (최대 10%) 지급 가능
5. 서울페이+ 앱 사용법
- 앱 이름: 서울Pay+
- 지원 대상: 서울시 거주자 및 사업자
- 결제 방식: QR결제 또는 가맹점 바코드 결제
- 충전방식: 등록계좌에서 실시간 충전 가능
6. 사용 가능한 가맹점 확인 방법
- 앱 내 ‘가맹점 찾기’ 메뉴 이용
- 제로페이 홈페이지: www.zeropay.or.kr → 가맹점 검색
- 지자체별 공지사항 확인
7. 사용 시 유의사항
- 모바일 기기 변경 시 재인증 필요
- 일부 고령층 가맹점은 QR 단말기 미설치 → 사용 불가 가능
- 지급일로부터 3개월 내 사용 권장 (기한 초과 시 자동 소멸)
- 통신 장애 시 결제 불가할 수 있어 잔액 확인 필수
맺음말
이제는 민생지원금을 실물 카드 없이도 앱 하나로 간편하게 사용하는 시대입니다. 지역화폐 앱을 설치하고 간단한 등록만 하면,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빠르게 결제할 수 있으며, 일부 지역은 추가 캐시백이나 할인 혜택</strong도 제공합니다.
지금 사용 중인 지역화폐 앱이 무엇인지 확인하시고, 민생지원금을 현명하고 스마트하게 활용해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