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6년 최저시급 10,320원 월급 계산과 장·단점 정리

by 달의편집장 2025. 8. 5.

 

 

 

2026년부터 최저시급이 10,320원으로 인상됩니다.
이는 2025년 10,030원보다 290원 오른 금액, 인상률은 2.9%입니다.

특히 이번 결정은 노동계·경영계·공익위원 전원 합의로 이뤄진 결과로, 2008년 이후 17년 만의 합의 결정이라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
✅ 최저시급 계산법
✅ 월급/연봉/실수령액
✅ 주휴수당 포함 기준
✅ 최저임금 인상의 장단점
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

📌 2026년 최저시급 한눈에 정리

구분내용
적용 시기 2026년 1월 1일~12월 31일
시급 10,320원
전년 대비 인상률 +2.9% (290원 증가)
월급 기준 2,156,880원 (209시간 기준)
연봉 환산 약 25,882,560원
결정 방식 노사공익위원 전원 합의로 확정
 

💰 최저시급 월급·연봉·실수령액 계산법

✔️ 월급 계산법 (기본 근로시간: 209시간)
→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
✔️ 연봉 환산
→ 월급 × 12개월 = 약 25,882,560원

✔️ 실수령액 예시 (4대 보험 공제 포함)
→ 약 1,910,000원 내외
(정확한 수치는 가족 수, 세금 공제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)


🟡 주휴수당 포함 시 급여는?

주휴수당이란?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 시 1일치 시급을 추가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✔️ 예시: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시
→ 주휴수당: 10,320원 × 8시간 = 82,560원 추가

✔️ 총 주급 계산
→ 48시간 × 10,320원 = 495,360원

👉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월급은 250만 원대까지 가능해집니다.


📈 최저시급 인상 추이 (2000~2026)

연도최저시급인상률
2000 1,865원 -
2010 4,110원 ↑ 2.8%
2015 5,580원 ↑ 7.1%
2018 7,530원 ↑ 16.4%
2023 9,620원 ↑ 5.0%
2025 10,030원 ↑ 2.5%
2026 10,320원 2.9%
 

📌 26년 사이 약 5.5배 인상
📌 물가 상승률, 저임금 계층 생계 보장을 고려한 결과


⚖️ 최저임금 인상의 장점과 단점

✅ 장점

  1. 저소득층의 생계 안정
    → 기본 생활비 보장으로 삶의 질 향상
  2. 소비 활성화 기대
    → 실질임금 상승 → 내수경제 순환 구조 형성
  3. 임금격차 완화
    → 상·하위 근로자 간 소득 격차 감소
  4. 청년·고령층 보호 효과
    → 단시간 노동자에게 실질적 혜택
  5. 근로시간 단축 유도
    → 같은 소득을 더 적은 시간에 얻는 구조 가능

❌ 단점

  1. 소상공인·자영업자 인건비 부담
    → 고용 축소, 폐업, 감원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음
  2. 일자리 수 감소 가능성
    → 자동화 대체·단기 계약 위주로 바뀔 가능성 존재
  3. 물가 상승 압박
    → 인건비 증가 → 상품·서비스 가격 인상
  4. 최저임금의 기준화
    → ‘경력 무관 동일시급’ → 채용 효율성 저하
  5. 청년층 채용 기회 감소
    → 무경력자 우선 탈락 가능성 증가

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
Q1. 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인가요?
→ 시간당 10,320원입니다.

Q2. 월급으로 계산하면 얼마인가요?
→ 주 40시간 기준, 월 2,156,880원입니다.

Q3. 주휴수당은 누구에게 지급되나요?
→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정해진 출근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만 지급됩니다.

Q4. 실수령액은 얼마인가요?
→ 평균적으로 약 191만 원 내외이며, 4대 보험 공제액에 따라 달라집니다.

Q5. 아르바이트, 외국인 근로자도 해당되나요?
→ 네,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

🧩 마무리 요약

  • 2026년 최저시급은 10,320원, 인상률 2.9%
  • 월급은 2,156,880원, 연봉은 약 2,580만 원
  • 실수령액은 약 191만 원 전후, 주휴수당 포함 시 더 많음
  • 인상은 저소득층에게 긍정적, 사업자에게는 부담 요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