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취, 독립, 취업, 결혼 준비 등으로 전세가 필요한 청년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정책이 있습니다.
바로 ‘청년전세대출’입니다.
정부와 금융기관이 협력해 보증·금리·조건을 완화한 상품으로, 일반 전세대출보다 이자 부담이 낮고, 심사 기준도 유리합니다.
2025년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정리해드릴게요.
💡 청년전세대출이란?
청년전세대출은 만 19세~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 지원 전세자금 대출 상품입니다.
월세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주거를 돕기 위해,
저소득 청년에게 저금리·무보증 또는 정부 보증 조건으로 대출을 지원합니다.
✅ 기본 조건 요약 (2025년 기준)
항목내용
📌 연령 |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 |
📌 무주택 요건 | 세대주 또는 예비세대주, 무주택자 |
📌 소득 요건 | 개인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부부 합산 7천만 원 이하 (신혼부부는 예외 일부) |
📌 자산 요건 | 총자산 3억 2천만 원 이하 |
📌 대출 한도 | 최대 1억 원 (보증기관별 차이 있음) |
📌 대출 금리 | 연 1.2%~2.7% 수준 (고정 또는 변동 가능) |
📌 임차보증금 한도 | 수도권 기준 최대 3억 원까지 허용 |
🏦 보증기관별 대출 특징
보증기관특징
주택도시보증공사(HUG) | 가장 널리 쓰이며, 대출한도 7천만~1억 원 |
한국주택금융공사(HF) | 무주택 청년 대상 특례보증 운영 중 (단, 2025년부터 보증 강화됨!) |
서울보증보험(SGI) | 자율 상품으로, 고정금리·심사 기준 다양 |
✅ 주의: HF는 2025년 8월부터 보증 기준이 강화되어,
전세금 + 기존 대출이 집값의 90%를 넘으면 보증 거절될 수 있습니다.
📝 신청 방법 (은행 or 앱 이용 가능)
① 시중은행 창구 신청
- 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 등 주요 은행 방문
- 청년전세대출 상품 담당 창구 상담
- 임대차계약서, 신분증, 소득증빙서류 지참
② 모바일 앱 신청
- 카카오뱅크, 토스뱅크, 케이뱅크 등에서 비대면 전세대출 제공
- 인증 → 조건 확인 → 자동 서류 제출 → 대출 실행까지 앱에서 가능
📂 필요 서류
- 신분증 (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)
- 주민등록등본
- 임대차계약서 (확정일자 필수)
- 소득증빙서류 (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, 소득금액증명원 등)
- 재직증명서 또는 사업자등록증
💬 실제 이용자 후기 요약
- “기존 대출보다 금리가 낮아 부담 적었어요.”
- “비대면 신청으로 은행 안 가도 돼서 편했어요.”
- “신청 전에는 보증기관별 한도 차이 꼭 확인하세요.”
🔍 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프리랜서/사업자도 청년전세대출 받을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단, 소득 증빙이 가능해야 하며, 일부 은행은 3개월 이상 사업소득 증빙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Q2. 신혼부부도 청년전세대출 신청 가능한가요?
A. 네. 부부 합산 소득 요건을 충족하면 신혼부부 특례 조건으로 신청 가능합니다.
Q3. 현재 전세살고 있는데 추가 대출도 가능한가요?
A. 일부 은행에서는 기존 보증금 증액 시 추가 대출 가능합니다. 단, 재심사 및 계약 변경이 필요합니다.
관련 글 더 보기
전세자금보증금 조건 강화 (전세보증금+기존대출=집 값90% 이하 만 보증가능)